안녕하세요? 한국e스포츠산업학회 사무국입니다.
다릉이 아니오라 본회에서 도서가 제작되어 온라인으로 판매중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ISBN 9791167258335
한국e스포츠산업학회,
송석록, 박주희, 허건식, 여형일. 김세윤. 반형걸. 정연철
대한민국은 e스포츠의 발상지이다.
대한민국은 e스포츠라는 새로운 문화를 창작하였고 이러한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든 것은 인적자원의 우수함을 넘어 인류의 위대함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민국은 e스포츠라는 문화유산을 보존하여 그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발전시켜야 할 책무가 있다. e스포츠를 구성하는 요소 하나하나가 소중하고 가치를 지니고 있다.
‘e스포츠’는 electronic Sports의 한국식 준말이며 e스포츠를 포함하여 이스포츠, e-Sports, eSports로 표기된다. 영문 S를 대문자로 쓰는 이유는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의 역동성, 열정, 독창성을 의미하며 평화, 연대, 화합, 공동체 의식 등을 표현한다.
e스포츠가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 시작을 알리는 e스포츠개론이 출간됨을 진심으로 환영한다. 본 도서는 기본적인 e스포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국내외 e스포츠 환경 및 산업적인 측면을 다루었고 e스포츠 법 및 전반적인 미래를 논의하였다.
본 서는 e스포츠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고 이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e스포츠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담아 대학의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을 위해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고 e스포츠 실무에 종사하는 행정가들에게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PART 01 e스포츠의 이해
CHAPTER 01 e스포츠의 이해 11
1. e스포츠의 개념과 정의 11
2. e스포츠의 국제화와 유산 21
CHAPTER 02 e스포츠의 역사 29
1. e스포츠의 역사와 발전 29
2. 주요 e스포츠 게임 32
PART 02 e스포츠의 국내외 환경
CHAPTER 03 e스포츠의 국내 환경 45
1. 태동기 45
2. 성장기 47
3. 발전기 49
4. 성숙기 51
5. 발전 요인 53
CHAPTER 04 e스포츠의 국외 환경 57
1. 아시아 58
2. 미 주 81
3. 유 럽 90
4. 아프리카 93
5. 오세아니아 97
6. 국가협회의 과제 100
CHAPTER 05 장
애인e스포츠의 현황 105
1. 장애인e스포츠의 국내 현황 105
2. 장애인e스포츠의 국외 현황 111
3. 운영시설 및 선수단 현황 113
4. 전문인 양성 114
5. 전략과 비전 116
PART 03 e스포츠의 산업
CHAPTER 06 e스포츠 산업의 구조와 표적마케팅 123
1. e스포츠 산업의 구조 123
2. e스포츠 시장 130
3. 표적마케팅 133
CHAPTER 07 e스포츠 산업의 수요와 공급 147
1. 경쟁환경에서 기업행동 : 소비자 147
2. 경쟁환경에서 소비자 행동 174
CHAPTER 08 e스포츠 산업 육성 정책과 법 189
1. e스포츠 정책의 제도적 기초 189
2. 이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이스포츠법) 190
3. 이스포츠법과 조세특례제한법 199
4. e스포츠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정책 202
5. e스포츠와 예산 212
6. e스포츠와 거버넌스 217
7. 최근(22대 국회)에 발의된 e스포츠법 개정안 223
CHAPTER 09 e스포츠 산업의 미래 229
1. e스포츠와 산업구조 229
2. e스포츠의 미래 234
참고문헌 253


e스포츠 개론 : 네이버 검색 (클릭)
